- 평가내역
SOCIAL I-AWARD evaluation
등록정보
타이틀 | BNK금융그룹 | |||||||
---|---|---|---|---|---|---|---|---|
BNK Financial Group | ||||||||
서브타이틀 | 비엔케이 | |||||||
BNKFG | ||||||||
URL | http://www.instagram.com/bnkfg_official/ 사이트보기 | |||||||
소개 | 최초의 지방은행 기반 종합금융그룹인 'BNK금융그룹'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 | |||||||
키워드 | 금융그룹,금융지주,금융,은행,지역경제,지역사회 | |||||||
제작년월 | 2018.7 | |||||||
등록구분 | 인스타그램 | |||||||
후보등록분야 | 인스타그램 > 금융일반 등록분야 목록보기 |
|||||||
소속사 | BNK금융그룹 | |||||||
소속사 제작진 |
|
|||||||
대행사 |
피알원 정보보기 |
|||||||
대행사 제작진 |
|
|||||||
서비스 설명 | - BNK금융그룹 소개
최초의 지방은행 기반 종합금융그룹. 2개의 은행 자회사와 7개의 비은행 자회사들을 산하에 두고 있습니다. - 공식 인스타그램 운영 목적 금융 거래를 시작하는 대학생/사회 초년생 등 Z세대를 대상으로, 타깃들이 공감할 만한 콘텐츠를 통해 금융을 친숙하게 느끼게 하고 나아가 당사 인지도 제고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 운영 방향 Z세대에 포커스를 맞춰 공감 내러티브를 설계하고, 지역금융그룹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지역색을 드러내지 않는 방향으로 채널 컨셉을 설정했습니다. 또한 빅모델과 빅 이벤트 중심의 타 금융권 인스타그램과 차별화를 둘 수 있는 콘텐츠 방안을 고민하였습니다. - 컨셉 재테크에 관심 많고 알고는 싶지만, 경제가 막연하고 낯설게 느껴지는 Z세대에게, 그들이 소비하는 ‘짤’ 콘텐츠로 쉽고 재미있게 다가가고자 했습니다. 뻔한 정보 전달, 일방향적 상품 광고가 아니라, 텅 빈 통장, 월급 전후 등 누구나 겪고 느꼈을 만한 돈과 관련된 내용들을 1-2컷의 이미지를 통해 직관적으로 표현하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콘텐츠 특성 일상에서 겪는 돈에 대한 이야기를 이슈가 되는 밈이나 K-POP, 드라마, 영화 등 트렌디한 소재들과 연결시켜 반전 스토리로 엮어내며, 일상 속에서 타깃들이 콘텐츠를 자연스럽게 소비하고, 나아가 공유하도록 유도합니다. 간결하지만 명확하게, 재미와 공감을 유발시키는 것이 핵심입니다. 2023년부터는 BNK금융그룹 인스타그램만의 캐릭터인 ‘돈돈이’를 콘텐츠의 주인공으로 설정하여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돈’을 중의적으로 표현한 돼지 캐릭터 ‘돈돈이’는 귀여운 비주얼로 팬들에게 어필하며 콘텐츠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이외에도 돈돈이 캐릭터를 활용한 행운의 부적, 세뱃돈 봉투 도안 나눔 등 다양한 캐릭터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 운영 전반 출근/등교 시간에 맞춰 월∙수∙금 오전 8시마다 콘텐츠를 공개하며 팬들이 하루를 웃으며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매 콘텐츠마다 콘텐츠와 연관 된 질문을 댓글 이벤트 형식으로 진행하며 팔로워들과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 운영 성과 2021년 5월 약 1.4만명이었던 팔로워는 2023년 5월 현재 약 4.9만명으로 250% 증가했습니다. 팔로워의 소통지수를 확인할 수 있는 참여(좋아요, 댓글, 저장, 공유) 수치는 꾸준히 증가하여, 2021년 월 평균 0.4만이던 참여 수가 2023년 현재 월 평균 1.2만으로 약 200% 증가했습니다. 2023년 4월 기준, 월 참여 수는 12,307개이며, 그 중 광고 데이터를 제외한 오가닉 참여 수는 11,152개로 오가닉 참여 비중이 9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오가닉 EGR(노출 대비 참여) 수치도 8.44%를 기록하며 순도 높은 팔로워 참여를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많은 광고비를 활용하는 타 채널과 달리 콘텐츠 자체의 힘으로 진성 유저들의 반응을 얻으며 채널 선호도를 높이고, 채널의 선호도는 궁극적으로 BNK금융그룹 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로 전이되고 있습니다. |
|||||||
추가이미지 | ||||||||
제작/구축 관련 자료 | w_202305220437190712464129.pdf |